티스토리 뷰
투자에 있어 시간의 가치를 안다는 것은
투자의 기회를 얻고, 활용하고, 리스크를 줄이는 수많은 의미를 활용한다는 뜻이다.
투자를 함에 시간을 활용한다는 건
정말 많은 [ 기회 ]를 가진다는 것을 말한다.
여기서 말하는 기회는
투자시장에 대한 노력과 관심을 기울일 수 있고,
투자에 대한 경험치를 가질 뿐 아니라,
복리의 마법이 힘을 얻을 수도 있고,
수많은 투자의 기회를 살릴 수도 있으며,
수많은 리스크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말하기도 한다.
즉, 시간을 가진자는
많은 자산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가진 자를 말한다.
이 기회를 잘 살리느냐 못살리냐는
내가 얼마나 자산관리와 투자에 관한
노력과 관심을 기울였냐와 연관이 있다.
시간 + 노력과 관심 = 자산증가
이 공식이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.
※ 혹, 노력과 관심의 가치에 대해서
좀 더 알고자 한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하자.
* 쉽게 돈을 벌려는 당신에게 말하고픈 노력과 관심의 가치
아래 표는 자산관리 업계에서
시간을 가치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
아주 유명한 표다. 함께 보자.
1. 캐릭터
이 표에는 두 사람이 나온다.
우둔이와 똑똑이.
우둔이는 투자는 잘 모르지만,
일찍부터 매월 [ 100만원 ]이라는 적지 않은 돈을 투자하여 온 사람이다.
어떤 면에서는 꾸준함으로 승부한 사람이고,
시장의 오르고 내림과, 유행에 흔들리지 않는 뚝심있는 사람이다.
금융에 대한 지식과 경험은 부족하지만
이런 기질만을 가지고 투자한 우둔이가
[ 연평균 4% ]의 수익을 얻는 투자처에
[ 10년 ] 동안 투자를 하고 알아서 굴러가도록 묵혀두었다.
그 다음엔?
이 100만원으로 자동차 할부를 값거나,
다른 곳에 투자해서 더 큰 자산을 만들기 위한 도전을 시작했을 수도 있겠다.
그건 차치하고 생각하자. ^^
자, 다음엔 똑똑이가 나온다.
이 똑똑이는 이름에서부터 느껴지지만
나름 똑똑하다고 자부하는 캐릭터를 말한다.
투자시장에서 나름 유행한다는 다양한 상품들에 투자를 해보고,
코인에도 투자를 해보는 등
관심도 많고, 다양하게 시도를 해보지만
결국
[ 처음 10년간 ] 혼자서는 별다른 성공의 경험을 못해보고
전문가의 도움을 받아
큰 욕심 부리지 않고 안전하게
[ 연평균 4% ] 정도의 수익을 내는 투자처에
[ 20년 ]간 지속했다고 가정해 보자.
2. 투자의 결과
우둔이는 10년 동안만 투자를 하고,
20년의 시간을 알아서 잘 굴러가도록 운용을 했고,
똑똑이는 10년의 시간을 흘려보내고,
나머지 20년의 시간 동안 집중해서 투자를 했다.
그래서
우둔이가 [ 10년 ]간 투자한 금액은 [ 1.2억 ]이고,
똑똑이가 투자한 금액은 [ 20년 ]이니깐 2배인 [ 2.4억 ]이다.
하지만 둘 다 30년 뒤에 만들어진 자산규모를 본다면
우둔이가 똑똑이에 비하여 2배 이상 많은
[ 87억 ]이라는 자산을 만들었다.
똑똑이는 2배의 금액을 2배의 시간동안
쏟아부었음에도 불구하고,
10년이라는 시간을 낭비한 결과로
무려 54억에 가까운 자산을 놓쳐버린 것이다.
시간의 가치가 느껴지는가!
3. 현실을 들여다 보자.
여기서 놀라운 것은 4%라는 그리 높지 않은 수익률로도
1.2억으로 86억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익을 만들어 냈다는 것이다.
'여러분~ 이게 바로 복리의 마법이에요~~!!!'
라고 얘기할 수도 있지만
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
4%의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
우둔이가 놓치지 않았다는 것이다.
무려 30년이다.
얼마나 긴 시간이며,
이 시간동안 얼마나 많은 굴곡의 시간들을 보냈을까,
또 출렁이는 시간동안
얼마나 많은 고민을 안고 살아왔을지 상상이나 가는가?
투자시장에 있어서는 흔히들
5년마다 금융위기와 같은 큰 파도를 맞이하고,
10년마다 투자 시장의 대변화를 맞이한다고 한다.
과거를 보더라도 얼추 맞는 얘기다.
그 시간동안 금융환경은 변해왔을 것이고,
안정적인 좋은 투자처들도 많이 생겨났을 것이다.
무슨말이 하고 싶은지 가늠이 되는가?
시장의 변화,
투자상품의 변화, 그리고
그러한 상품들을 판매하는 사람들에 대한
변화를 경험하고,
그 노하우를 유지하는
관심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.
그리고,
그 관심과 노력을 레버리지 할 수 있는
충분한 시간을 가져야만 한다는 말이 하고 싶은 것이다.
가만히 앉아서 떨어지는 감을 기대해선 안된다.
가만히 앉아서 안전하게 수익을 얻으려면
은행에 넣으면 된다.
증권사 MMF나 RP등에 투자하면
연평균 1~2% 정도는 얻을 수 있겠다.
하지만,
계속하여 시장에 관심을 두고,
주가가 오를 땐 어떻게 해야 하는지,
주가가 떨어질 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,
어떤 구조의 상품들이 큰 변화의 흐름에서도
안전한 수익을 유지해 갈 수 있는지에 대한
끊임없는 관심과 노력. 그리고 그 시간들...
그것이 86억의 수익을 만들어 낸 원동력이라고 말하고 싶다.
단지,
투자해 놓고 묵혀두기만 하면
우리의 기질상 절대로 손실을 두고 보지 못한다.
돈이 방치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.
한국인들은 기질이 그렇다.
액티브하다. 변화에 민감하다.
파도가 치는 투자의 바다에서
어떻게 배를 움직여야 뒤집어지지 않을지
고민해보고, 자료도 찾아보고, 테스트도 해보는 등
노력과 관심이 있다면
4%가 아닌 6%, 8%의 수익도 절대 불가능은 아닐 것이다.
이 노력과 관심을 기울일 수 있는
충분히 긴 시간!
그 시간의 가치가 추가적인 수익과 자산을 만들어 줄 것이다.
'혜택이 되는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남신용보증재단 호우 피해 특례보증 신청과 승인 절차 및 필수 서류 가이드 (3) | 2025.08.05 |
---|---|
AI 에이전트와 CHAT GPT의 차이점, 활용사례 및 역할 (22) | 2025.07.27 |
AI 에이전트 현명한 활용 위한 도전과제와 윤리적 고민 (10) | 2025.07.26 |
쉽게 돈을 벌려는 당신에게 말하고픈 노력과 관심의 가치 (0) | 2024.04.22 |